내가 푼 것 license_plate = '24가 2210' print(license_plate[4:]) # 출력화면 # 2210 정답 license_plate = '24가 2210' print(license_plate[-4:]) # 출력화면 # 2210 슬라이싱은 [인덱스:인덱스] 이런 식으로 사용함 시작 인덱스를 안 쓰면([:인덱스]) 처음부터 해당 인덱스까지를 추출함 끝 인덱스를 안 쓰면([인덱스:]) 해당 인덱스부터 끝까지를 추출함 인덱스를 음수로 쓰면 마지막 인덱스를 0이라 생각하고 그걸 기준으로 거꾸로 셈 내 답은 우연의 일치로 출력화면이 정답과 같이 나왔지만 아래와 같이 변경하면 답이 틀림 license_plate = '24가 00002210' print(license_plate[4:]) #..
print()함수에는 옵션을 넣어 출력을 다르게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sep은 separation의 약자로 인자 간 구분자를 넣어준다 예시 print("naver", "kakao", "sk", "samsung", sep=";") # 출력화면 # naver;kakao;sk;samsung 출력되는 글자 끝에 \n(줄바꿈)이 아닌 다른 걸 넣고 싶을 때 쓴다 예시 print("first", end=" ");print("second") # 출력화면 # first second 출력물(?) 사이에 줄바꿈 대신 공백으로 나옴 end=""를 안 넣으면 print()함수를 붙여서 썼어도 아래처럼 나온다 print("first");print("second") # 출력화면 # first # second